1. 서론

이번 포스팅은 데모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필수적으로 구현해야하는 코드는 없습니다. 따라서 Skip해도 괜찮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상태를 저장하는 State-Stored Aggregat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 Aggregate 종류

 

AxonFramework 에서 Aggregate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EventSourced Aggregate
  2. State-Stored Aggregate

 

EventSourced Aggregate는 기존 Command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구현한 모델 방식입니다. 즉 EventStore로부터 Event를 재생하면서 모델의 최신상태를 만듭니다.

 

출처 : https://altkomsoftware.pl/en/blog/cqrs-event-sourcing/

 

이와 반대로 State-Stored Aggregate는 위 그림과 같이 EventStore에 Event를 적재와 별개로 모델 자체에 최신 상태를 DB에 저장합니다. 데모 프로젝트 Aggregate 구조 변경을 통해 Command DB에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3. State-Stored Aggregate

 

데모 프로젝트에는 Holder와 Account Entitiy가 존재합니다. Command 모델에서는 해당 Entitiy 관계를 분리하여 표현할 것이며 모델 구현은 JPA를 사용하겠습니다. 먼저 Command와 Query DB에 적재될 테이블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ERD

 

Command 모델

 

Query 모델


3. Aggregate 구현

 

State-Stored Aggregate 구현을 위해 기존 코드를 단계적으로 변경하겠습니다.

 

1. HolderAggregate와 AccountAggregate 구조 변경을 통해 상태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현합니다.

 

HolderAggregate.java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Aggregate
@Slf4j
@Entity(name = "holder")
@Table(name = "holder")
public class Holder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Id
    @Column(name = "holder_id")
    @Getter
    private String holderID;
    @Column(name = "holder_name")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OneToMany(mappedBy = "holder",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AccountAggregate> accounts = new ArrayList<>();

    public void registerAccount(AccountAggregate account){
        if(!this.accounts.contains(account))
            this.accounts.add(account);
    }
    public void unRegisterAccount(AccountAggregate account){
        this.accounts.remove(account);
    }

    @CommandHandler
    public HolderAggregate(HolderCreationCommand command) {
        log.debug("handling {}", command);

        this.holderID = command.getHolderID();
        this.holderName = command.getHolderName();
        this.tel = command.getTel();
        this.address = command.getAddress();

        apply(new HolderCreation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HolderName(), command.getTel(), command.getAddress()));
    }
}

 

@Entity 어노테이션을 통해 대상 Aggregate가 JPA에서 관리되는 Entity임을 명시했습니다. 또한 Aggregate 식별자에 @Id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여 대상 속성이 PK임을 표시합니다.

 

HolderAggregate는 AccountAggregate와 1:N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양방향 관계 설정 했으며, HolderAggregate가 삭제될 경우 AccountAggregate도 삭제되도록 orphanRemovel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양방향 관계 설정 시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제공을 위해 registerAccount, unRegisterAccount 메소드를 추가했습니다. 

(참고 : 양방향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혹시 위 Aggregate 코드에서 JPA 코드 추가 외에 혹시 이상한 점을 눈치채셨나요?

 

바로 EventSourcingHandler 메소드가 사라졌습니다. State-Stored Aggregate 모델은 모델 자체가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EventStore로부터 Replay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CommandHandler 메소드 내에서 Command 상태를 저장하는 로직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이번에는 AccountAggreagte 클래스를 변경하겠습니다.

 

AccountAggregate.jav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Slf4j
@Aggregate
@EqualsAndHashCode
@Entity(name = "account")
@Table(name = "account")
public class Account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Id
    @Column(name = "account_id")
    private String accountID;

    @ManyToOne
    @JoinColumn(name = "holder_id", foreignKey = @ForeignKey(name = "FK_HOLDER"))
    private HolderAggregate holder;
    private Long balance;

    public void registerHolder(HolderAggregate holder){
        if(this.holder != null)
            this.holder.unRegisterAccount(this);
        this.holder = holder;
        this.holder.registerAccount(this);
    }

    @CommandHandler
    public AccountAggregate(AccountCreationCommand command) {
        log.debug("handling {}", command);
        this.accountID = command.getAccountID();
        HolderAggregate holder = command.getHolder();
        registerHolder(holder);
        this.balance = 0L;
        apply(new AccountCreationEvent(holder.getHolderID(),command.getAccountID()));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depositMoney(DepositMoneyCommand command){
        log.debug("handling {}", command);
        if(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this.balance += command.getAmount();
        log.debug("balance {}", this.balance);
        apply(new Deposit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withdrawMoney(WithdrawMoneyCommand command){
        log.debug("handling {}", command);
        if(this.balance - 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else if(command.getAmount() <= 0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this.balance -= command.getAmount();
        log.debug("balance {}", this.balance);
        apply(new Withdraw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

 

HolderAggregate에서 설명한 부분은 제외하고 추가된 점은 Account 모델이 Holder 모델에 대하여 FK를 지니고 있으므로 관계상에서 FK를 명시하였습니다. 


2. HolderAggregate 클래스 생성을 위한 Repository 패키지 및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3. HolderRepository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Hold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HolderAggregate,String> {
    Optional<HolderAggregate> findHolderAggregateByHolderID(String id);
}

4. 객체 대상으로 연관관계를 변경하였기 때문에 AccountCreateCommand 클래스를 수정합니다.

 


5. Service 클래스를 수정합니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nsactionServiceImpl implements TransactionService {
    private final CommandGateway commandGateway;
    private final HolderRepository holders;

...(중략)...

    @Override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Account(AccountDTO accountDTO) {
        HolderAggregate holder = holders.findHolderAggregateByHolderID(accountDTO.getHolderID())
                                       .orElseThrow( () -> new IllegalAccessError("계정 ID가 올바르지 않습니다."));
        return commandGateway.send(new AccountCreationCommand(UUID.randomUUID().toString(),holder));
    }

...(중략)...
}

6. Snapshot 설정을 위해 생성한 Configuration 속성을 적용하지 않도록 AxonConfig 클래스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주석처리 합니다.

 

//@Configuration
//@AutoConfigureAfter(AxonAuto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AxonConfig {
...(중략)...
}

 

이로써 State-Stored Aggregate 구현에 대한 코드 변경은 끝났습니다.


4. 테스트

 

1. Application 실행 후 계정 생성 API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POST http://localhost:8080/hol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olderName" : "kevin",
	"tel" : "02-1234-5678",
	"address" : "OO시 OO구"
}

 

2. DB에서 계정 데이터 생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3. 계좌 생성 API를 호출합니다.

POST http://localhost:8080/accoun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olderID" : "486832c2-b606-470d-949a-9f9d8613b112"
}

 

4. DB에서 계좌 데이터 생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5. 입금 API를 호출합니다.

POST http://localhost:8080/deposi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ccountID" : "9274bb43-ca87-4aa4-b1b4-0363382ad6fb",
  "holderID" : "486832c2-b606-470d-949a-9f9d8613b112",
  "amount" : 300
}

 

6. DB에서 해당 계정 잔고를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입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출금 API를 4번 연속으로 호출합니다.

POST http://localhost:8080/withdrawal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ccountID" : "9274bb43-ca87-4aa4-b1b4-0363382ad6fb",
  "holderID" : "486832c2-b606-470d-949a-9f9d8613b112",
  "amount" : 1
}

8. DB에서 출금 내역을 확인합니다.

 

 

정상적으로 출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a.commandhandling.SimpleCommandBus     : Handling command [com.cqrs.command.commands.WithdrawMoneyCommand]
c.c.command.aggregate.AccountAggregate   : handling WithdrawMoneyCommand(accountID=9274bb43-ca87-4aa4-b1b4-0363382ad6fb, holderID=486832c2-b606-470d-949a-9f9d8613b112, amount=1)
c.c.command.aggregate.AccountAggregate   : balance 296
org.axonframework.messaging.Scope        : Clearing out ThreadLocal current Scope, as no Scopes are present

 

4번 연속 출금 후 Application의 로그를 일부 발췌하였습니다. 기존과 다른점은 EventSourced Aggregate의 경우에는 Replay를 위해 EventStore의 I/O 과정이 필요했지만 State-Stored Aggregate는 상태를 보관하므로 상태 복원 과정이 없습니다.


5. 마치며

State-Stored Aggreagte는 Command DB에 최신 상태를 보관합니다. 이로인해 매번 EventStore를 통해서 Replay를 하지 않아도 되는 점은 장점입니다.

 

하지만 만약에 테이블 데이터가 손실이 되어서 복구가 필요한 경우 Replay를 자동으로 수행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EventSourcing 하는 작업을 구현해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DBMS 자체 복구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Media Recovery가 불가피하다면 DB 서비스 중단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Aggregate별 사용 장단점을 인지한 다음 적절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Command Application 구현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

지난시간에 이어 Aggregate에 명령을 요청하는 API 구현 및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PI 레벨 테스트를 진행할 것이며, Axon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관련 클래스 소개는 차후에 진행하겠습니다.

 


2. DTO 구현

EventSourcing & CQRS 예제 프로젝트 개요에서 API 엔드포인트를 도출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API 호출시 매핑되는 DTO 클래스 먼저 구현하겠습니다.

 

 

1. dto 패키지를 만듭니다. 그리고 dto 클래스 5개를 만듭니다.

 


2. dto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HolderDTO.java

@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HolderDTO {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

AccountDTO.java

@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AccountDTO {
    private String holderID;
}

TransactionDTO.java

@Getter
@AllArgsConstructo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nsactionDTO {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amount;
}

DepositDTO.java

public class DepositDTO extends TransactionDTO {}

WithdrawalDTO.java

public class WithdrawalDTO extends TransactionDTO {}

 

입금과 출금형식이 동일하므로 TransactionDTO에 공통 속성 구현한다음 상속하였습니다.


3. Service 구현

CommandGateway와의 연결을 위한 Service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1. service 패키지 생성 후 service 인터페이스 및 구현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2. 인터페이스 정의 및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TransactionService.java

public interface TransactionService {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Holder(HolderDTO holderDTO);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Account(AccountDTO accountDTO);
    CompletableFuture<String> depositMoney(DepositDTO transactionDTO);
    CompletableFuture<String> withdrawMoney(WithdrawalDTO transactionDTO);
}

TransactionServiceImpl.java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nsactionServiceImpl implements TransactionService {
    private final CommandGateway commandGateway;

    @Override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Holder(HolderDTO holderDTO) {
        return commandGateway.send(new HolderCreationCommand(UUID.randomUUID().toString()
                , holderDTO.getHolderName()
                , holderDTO.getTel()
                , holderDTO.getAddress()));
    }

    @Override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Account(AccountDTO accountDTO) {
        return commandGateway.send(new AccountCreationCommand(accountDTO.getHolderID(),UUID.randomUUID().toString()));
    }

    @Override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depositMoney(DepositDTO transactionDTO) {
        return commandGateway.send(new DepositMoneyCommand(transactionDTO.getAccountID(), transactionDTO.getHolderID(), transactionDTO.getAmount()));
    }

    @Override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withdrawMoney(WithdrawalDTO transactionDTO) {
        return commandGateway.send(new WithdrawMoneyCommand(transactionDTO.getAccountID(), transactionDTO.getHolderID(), transactionDTO.getAmount()));
    }
}

 

 

Service 구현 코드를 보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듯이 CommandGateway를 통해 Command를 생성 합니다. 이는 지난 포스팅에서 다룬 Command 수행 내부 흐름 첫번째 단계에 해당합니다.

 

참고로 CommandGateway에서 제공되는 API는 크게 두 가지로 첫째는 위 소스코드에서 사용한 send 메소드이고 나머지는 sendAndWait 메소드입니다. send 메소드는 비동기 방식이며, sendAndWait은 동기 방식의 메소드입니다. 동기 방식의 메소드는 default가 응답이 올때까지 대기하며 이는 호출 후 hang 상태가 지속되면 스레드 고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메소드 파라미터에 timeout을 지정하여 실패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xon 공식 문서를 참고 바랍니다.


4. Controller 구현

Controller를 통해 API 매핑작업을 수행합니다.

 

1. controller 패키지 만든 후 controller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2. Controller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nsactionController {
    private final TransactionService transactionService;

    @PostMapping("/holder")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Holder(@RequestBody HolderDTO holderDTO){
        return transactionService.createHolder(holderDTO);
    }

    @PostMapping("/account")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createAccount(@RequestBody AccountDTO accountDTO){
        return transactionService.createAccount(accountDTO);
    }

    @PostMapping("/deposit")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deposit(@RequestBody DepositDTO transactionDTO){
        return transactionService.depositMoney(transactionDTO);
    }

    @PostMapping("/withdrawal")
    public CompletableFuture<String> withdraw(@RequestBody WithdrawalDTO transactionDTO){
        return transactionService.withdrawMoney(transactionDTO);
    }
}

 

Controller 클래스는 단순히 전달받은 DTO를 Service에 전달하는 역할만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이로써 Command Application 기본 코드 작성은 끝났습니다.


5. Log 설정

 

Command, EventSourcing Handler 메소드가 수행되는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서 Logging 설정을 진행합니다.

 

1. resource 폴더 및 application.yml 파일을 연다음 logging 설정을 추가합니다.

 


2. Aggregate 코드에 @Slf4j 어노테이션 추가 및 log 정보를 기록합니다.

 

HolderAggregate.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Slf4j
public class Holder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CommandHandler
    public HolderAggregate(HolderCreationCommand command) {
        log.debug("handling {}", command);
        apply(new HolderCreation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HolderName(), command.getTel(), command.getAddress()));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createHolder(HolderCreationEvent event){
        log.debug("applying {}", event);
        this.holderID = event.getHolderID();
        this.holderName = event.getHolderName();
        this.tel = event.getTel();
        this.address = event.getAddress();
    }
}

 

AccountAggregate.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Slf4j
public class Account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balance;

    @CommandHandler
    public AccountAggregate(AccountCreationCommand command) {
        log.debug("handling {}", command);
        apply(new AccountCreationEvent(command.getHolderID(),command.getAccountID()));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createAccount(AccountCreationEvent event){
        log.debug("applying {}", event);
        this.accountID = event.getAccountID();
        this.holderID = event.getHolderID();
        this.balance = 0L;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depositMoney(DepositMoneyCommand command){
        log.debug("handling {}", command);
        if(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apply(new Deposit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depositMoney(DepositMoneyEvent event){
        log.debug("applying {}", event);
        this.balance += event.getAmount();
        log.debug("balance {}", this.balance);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withdrawMoney(WithdrawMoneyCommand command){
        log.debug("handling {}", command);
        if(this.balance - 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else if(command.getAmount() <= 0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apply(new Withdraw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withdrawMoney(WithdrawMoneyEvent event){
        log.debug("applying {}", event);
        this.balance -= event.getAmount();
        log.debug("balance {}", this.balance);
    }
}

6. API 테스트 코드 작성

Command Application API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작성합니다. API 테스트를 위해 Postman을 비롯하여 여러 툴이 있지만, IntelliJhttp 기능을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Command 모듈 적절한 위치에 http 확장자로 끝나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2. http 코드를 작성합니다.

 

POST http://localhost:8080/hol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olderName" : "kevin",
	"tel" : "02-1234-5678",
	"address" : "OO시 OO구"
}

###

POST http://localhost:8080/accoun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holderID" : "계정 생성 후 반환되는 UUID"
}

###

POST http://localhost:8080/deposit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ccountID" : "계좌 생성 후 반환되는 UUID",
  "holderID" : "계정 생성 후 반환되는 UUID",
  "amount" : 300
}

###

POST http://localhost:8080/withdrawal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ccountID" : "계좌 생성 후 반환되는 UUID",
  "holderID" : "계정 생성 후 반환되는 UUID",
  "amount" : 10
}

###

7. API 테스트 

 

1. AxonServer가 기동된 상태에서 Command App을 수행합니다. 혹시 Axon Server 기동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AxonServer 설치 및 실행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2. http 파일에서 계정 생성 url에 커서를 위치 시킨다음 [Alt + Enter] 키를 누릅니다.

 


3. Run Localhost:8080 버튼을 눌러 API를 실행합니다.

 

 

4. 정상 실행결과 및 반환된 계정 식별자 값을 확인합니다.

 

또한 위 그림과 같이 Application 로그에도 정상적으로 CommandHanlder 및 EventSourcingHandler 메소드가 수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8. 성능 개선

 

데모 프로젝트에서는 Command 명령 생성과 이를 처리하는 Command Handler를 하나의 App에 모두 구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위 Application에서는 Command 발행 시 Axon Server와의 통신을 수행합니다. 이는 AxonServer와 연결시 기본적으로 CommandBus로써 AxonServerCommandBus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Command 처리시 AxonServer 연결없이 명령을 처리하도록 변경이 필요합니다. AxonFramework에서는 SimpleCommandBus 클래스를 제공하며, 설정을 통해 CommandBus 인터페이스 교체가 가능합니다.

 

설정 변경을 통해 Command Bus를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1. Command 모듈에 config 패키지 생성 후 AxonConfig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2. AxonConfig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AxonConfig.java

@Configuration
@AutoConfigureAfter(AxonAutoConfiguration.class)
public class AxonConfig {
    @Bean
    SimpleCommandBus commandBus(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return  SimpleCommandBus.builder().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build();
    }
 }

 

AxonFramework는 기본적으로 AxonAutoConfiguration 클래스를 통해 Default 속성을 정의합니다. Custom 속성을 추가하기 위해 Axon 기본 설정이 완료된 후 수행될 수 있도록 @AutoConfigureAfter 어노테이션을 추가했습니다.


3. Application 수행 후 테스트하면 CommandBus가 SimpleCommandBus로 교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o.a.commandhandling.SimpleCommandBus     : Handling command [com.cqrs.command.commands.HolderCreationCommand]

9. 마치며

이로써 Command Application의 전반적인 코드 구현을 완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위 프로그램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이 가진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서론 

 

EventSourcing + CQRS 예제 프로젝트 개요 포스팅을 통해 구현할 프로젝트 소개 및 Command와 Event를 도출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Command, Event, Aggregate 기본 구조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EventSourcing + CQRS 예제 프로젝트 개요

1. 개요 지금부터 EventSourcing과 CQRS가 적용된 프로젝트를 구현하면서 AxonFramework 사용법을 배워봅니다. 이에 앞서 앞으로 진행할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를 통해 구조를 잡아보겠습니다. 프로그램 요구사항..

cla9.tistory.com


2. Event 구현

 

 

Event 클래스는 Command와 Query 둘다 사용되므로 공통 모듈에서 구현하겠습니다.

 

1. Common 모듈에 존재하는 build.gradle 파일을 엽니다. 이후 롬복 사용 및 공통 모듈 컴파일 시 jar파일 생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bootJar { 
    enabled = false 
}
jar {
    enabled = true
}
dependencies{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2. Common 모듈 패키지 생성을 위해 src > main > java 디렉토리 선택 후 [Alt + Insert] 키를 누릅니다. 이후 package 탭을 선택하고 임의의 package 명을 입력한 다음 OK 버튼을 누릅니다.

 


3. 생성된 패키지 하위에 Event 클래스 4개를 생성합니다.

 


4. Event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HolderCreationEvent.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HolderCreationEvent {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

 

AccountCreationEvent.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AccountCreationEvent {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accountID;
}

 

DepositMoneyEvent.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DepositMoneyEvent {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Long amount;
}

 

WithdrawMoneyEvent.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WithdrawMoneyEvent {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Long amount;
}

3. Command 구현

만약 Command을 요청하는 App이 실제 처리하는 App과 동일하지 않다면, Command 또한 공통 모듈에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데모 프로젝트에서는 Command App에서 모두 처리할 것이므로 Command 모듈내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1. Command 모듈내에 위치한 패키지 최하위에 commands 패키지를 추가합니다.

 


2. 생성된 패키지 하위에 Command 클래스 4개를 생성합니다.

 


3. Command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HolderCreationCommand.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HolderCreationCommand {
    @Target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

AccountCreationCommand.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AccountCreationCommand {
    @Target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accountID;
}

DepositMoneyCommand.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DepositMoneyCommand {
    @Target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amount;
}

WithdrawMoneyCommand.java

@AllArgsConstructor
@ToString
@Getter
public class WithdrawMoneyCommand {
    @Target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amount;
}

 

Event와 달리 Command 클래스에는 @TargetAggregateIdentifier 어노테이션이 붙었습니다. 이는 AxonFramework 모델링의 단위가 Aggregate이고 각 Aggregate마다 고유한 식별자가 부여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ommand 클래스를 디자인 할때에도 어떤 Aggregate를 대상으로 명령을 수행할 것인지 알아야 하기 때문에 대상 Aggregate의 식별자 지정이 필요합니다.


4. Aggregate 구현

도메인 주도 개발 방법론(DDD)을 배우면 반드시 등장하는 개념이 Aggregate입니다. AxonFramework 에서도 DDD 기반으로 설계되었기에 Aggregate가 필요합니다. 데모 프로젝트에서는 HolderAccount 연관된 Aggregate를 구현하도록 하겠습니다.

 

1. Command 모듈내 aggregate 패키지를 생성후 Aggregate 클래스 2개를 생성합니다.

 


2. Aggregate 클래스를 구현합니다.

 

HolderAggregate.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public class Holder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

 

AccountAggregate.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public class Account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balance;
}    

 

Aggregate 클래스에는 클래스 위에 Aggregate임을 알려주는 Annotation을 추가합니다. 또한 Aggregate 별로 식별자가 반드시 존재해야되기 때문에 유일성을 갖는 대표키 속성에 @AggregateIdentifier을 추가합니다.

 

AxonFramework 에서는 모든 명령(Command)과 이벤트(Event)가 Aggregate에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Aggregate에 대한 명령과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Handler 메소드 작성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Event Sourcing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에 명령이 발생한 Event를 적용하는 단계가 필요합니다.

 

 

Handler는 대개 Aggregation 클래스에서 정의하며, 외부 클래스에서 별도 정의도 가능합니다. 데모에서는 Aggregate에서 정의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이며 외부 정의 방식은 Axon 공식 문서를 참조 바랍니다.

 

AxonFramework를 사용함에 있어 주로 사용하는 Handler Annotation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mmandHandler : Aggregate에 대한 명령이 발생되었을 때 호출되는 메소드임을 알려주는 마커 역할
  • @EventSourcingHandler : CommandHandler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적용하는 메소드임을 알려주는 마커 역할
  • @EventHandler : Query 모델 혹은 이벤트 발생시 해당 이벤트를 적용하는 메소드임을 알려주는 마커 역할

HolderAggregation 클래스를 대상으로 계정 생성 명령(HolderCreationCommand)과 이로인해 발생하는 계정 생성 이벤트(HolderCreationEvent) 처리하는 Handler 메소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olderAggregation.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public class Holder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String holderName;
    private String tel;
    private String address;

    @CommandHandler
    public HolderAggregate(HolderCreationCommand command) {
        apply(new HolderCreation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HolderName(), command.getTel(), command.getAddress()));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createAccount(HolderCreationEvent event){
        this.holderID = event.getHolderID();
        this.holderName = event.getHolderName();
        this.tel = event.getTel();
        this.address = event.getAddress();
    }
}

 

소스코드를 보면 @CommandHandler@EventSourcingHandler 어노테이션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CommandHandler 메소드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위 코드에서 CommandHandler는 생성자에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계정 생성 명령은 곧 HolderAggregate의 생성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해당 메소드 안에 applyAggregateLifeCycle 클래스의 static 메소드이며, 해당 메소드를 통해서 이벤트를 발행합니다.

 

EventSourcingHandler 메소드는 CommandHandler에서 기존에 발행된 이벤트 및 현재 발생한 Command 이벤트를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위 그림은 HolderCreationCommand 명령이 발생되었을 때, 수행되는 내부 흐름을 간략하게 표현했습니다.

 

  1. 사용자로부터 Command 명령을 CommandGateway로 전달하면, 메시지 변환 과정(GenericCommandMessage)을 거쳐 CommandBus로 전달합니다.
  2. CommandBus는 Command 명령을 Axon Server로 전송합니다.
  3. AxonServer에서 명령을 Command Bus를 통해 해당 Command를 처리할 App에게 전달합니다.
  4. UnitOfWork(4~7 단계)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Chain으로 연결된 handler 들을 거치면서 대상 Aggregate에 대하여 EventStore로부터 과거 이벤트들을 Loading 하여 최신 상태로 만듭니다. 이후 해당 Command와 연결된 Handler 메소드를 Reflection을 활용하여 호출합니다.
  5. CommandHandler 메소드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apply 메소드 호출을 통해 이벤트(HolderCreationEvent)를 발행합니다.
  6. 발행된 Event는 내부 로직을 거치면서 Event 처리를 수행할 Handler를 매핑한 후 EventSourcingHandler 메소드를 Reflection을 활용하여 호출합니다.
  7. EventSourcingHandler 호출이 완료되면, EventBus를 통해 Event 발행을 요청합니다.(publish)
  8. EventBus는 이벤트를 Axon Server에 전달합니다.
  9. EventStore인 Axon Server에서는 전달받은 Event를 저장소에 기록합니다.
  10. 메시지 라우팅 기능을 담당하는 Axon Server는 연결된 App을 대상으로 Event를 전파합니다.

(※ AxonServer와 App간의 연결은 grpc를 사용합니다.)

위와 같이 간단하게 Handler 메소드 두개 작성했을 뿐인데, 내부 로직은 복잡합니다.

 

이번에는 AccountAggregate 클래스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ccountAggregate.java

@RequiredArgsConstructor
@Aggregate
public class AccountAggregate {
    @AggregateIdentifier
    private String accountID;
    private String holderID;
    private Long balance;

    @CommandHandler
    public AccountAggregate(AccountCreationCommand command) {
        apply(new AccountCreationEvent(command.getHolderID(),command.getAccountID()));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createAccount(AccountCreationEvent event){
        this.accountID = event.getAccountID();
        this.holderID = event.getHolderID();
        this.balance = 0L;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depositMoney(DepositMoneyCommand command){
        if(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apply(new Deposit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depositMoney(DepositMoneyEvent event){
        this.balance += event.getAmount();
    }
    @CommandHandler
    protected void withdrawMoney(WithdrawMoneyCommand command){
        if(this.balance - command.getAmount() < 0)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잔고가 부족합니다.");
        else if(command.getAmount() <= 0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amount >= 0");
        apply(new WithdrawMoneyEvent(command.getHolderID(), command.getAccountID(), command.getAmount()));
    }
    @EventSourcingHandler
    protected void withdrawMoney(WithdrawMoneyEvent event){
        this.balance -= event.getAmount();
    }
}

 

코드를 보면 모든 예외 처리 및 유효성 검증CommandHandler에서 하고 있습니다. 이는 EventStore에 적재된 모든 Event는 재생해야할 대상이기 때문에 EventSourcingHandler에서는 Replay만 수행합니다. 따라서 CommandHandler에서 사전 Exception 처리 및 유효성 검증을 통해서 검증된 Event만을 발행해야합니다.


5. Axon Server 라우팅 기능(Command)

지금까지 AxonFramework를 사용하는 Client 입장에서 동작 원리를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Server 입장에서 메시지 라우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황 1. Command를 처리하는 Handler가 하나만 Axon Server에 등록된 경우

 

 

Application 기동시 AxonServer와 연결을 시도합니다. 연결이 완료되면, 해당 App은 자신이 처리가능한 Command Handler 정보를 Server에 등록합니다. 

 

이때 다른 App에서 Command 명령을 요청하게되면 AxonServer에서는 해당 Command를 수행할 수 있는 App을 알기 때문에 해당 App으로 Command 명령을 전달합니다.


상황2. 동일한 Command를 처리하는 Handler가 복수개 등록된 경우

 

 

동일한 Command A를 처리할 수 있는 Handler 메소드를 포함하는 App이 복수개로 등록되었을 경우 내부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Axon Server에서는 Command가 도착할 경우 어떤 App에서 수행해야할지를 결정 해야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해 라우팅 테이블에 두 App의 정보를 등록합니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어떤 노드들이 Server와 연결되어있고, 해당 노드들이 어떤 Command를 처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내부 아키텍처는 Consistenet Hashing 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관련 설명은 charsyam 님 블로그를 참고바랍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App에서 A Command를 요청했다면, 해당 요청 속에 포함된 라우팅 키를 찾아 라우팅 테이블에서 적합한 App을 선정하여 호출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Client Side 모델 데이터가 Sharding 되어있거나 고가용성을 위해 Cluster로 App을 구축했더라도 Command 명령은 정확히 하나의 App Command Handler에만 전달됩니다.

 

라우팅 키는 @TargetAggregateIdentifier 혹은 @RoutingKey 어노테이션을 Command에 포함시에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6.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Event, Command, Aggregate 모델을 구현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API 구현 및 테스트를 통해서 실제 동작하는 과정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ip)

 

1. AxonServer에 저장된 Event 내역은 DashBoard에서 Search 항목을 누르면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Dashboard Commands 탭에서는 등록된 Command Handler 정보 및 현재 수행중인 Command 발생 빈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Command 명령이 발생하면 내부적으로는 몇차례 Command 메시지 변환 과정을 거쳐 부가적인 정보가 추가됩니다. 

 

1단계

Command :
"CreateHolderCommand(
  holderID='1f2cf247-afe7-46d6-bc6d-d588643d6643', 
  holderName= 'kevin', 
  tel='1234-5678', 
  address='서울시')"
callback: 
FailureLoggingCallback@12115

2단계 (GenericMessage 변환후 메시지)

commandMessage:
"GenericCommandMessage{
	payload={
	CreateHolderCommand(
  		holderID='1f2cf247-afe7-46d6-bc6d-d588643d6643', 
  		holderName= 'kevin', 
		tel='1234-5678', 
		address='서울시'),
	metadata={},
	messageIdentifier = '040ffa0c-5d2d-4588-a04c-8051867d4057',
	commandName ='com.cqrs.command.commands.CreateHolderCommand}'"
commandCallback: 
FailureLoggingCallback@12115

 

기본 Command 정보 외 message 식별자 및 Command 패키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해당 메시지는 CommandGateway의 Send API를 사용했을 때의 메시지 내용입니다.

+ Recent posts